(위 링크는 지난 글입니다. 이 글은 지난 글에 이어 쓰는 두 번째 글로, 퇴직 이후의 삶에 대해 다룹니다.)
직장인에게 있어 몇 안되는 좋은 제도 중 하나는 IRP입니다. IRP란, 근로자의 퇴직금을 자신 명의의 퇴직 계좌에 적립해 연금 등 노후자금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하는 제도죠.
작년 말 IRP를 다룬 어느 기사에서 이런 내용을 봤습니다. '우리나라 IRP의 90%는 예금형에 잠자고 있다, 적극적으로 운용하는 비율은 10%에 그친다'. 저도 운용에 신경쓰기 시작한지는 얼마 되지 않았지만 제가 생각한거 이상으로 낮은 비율에 사실 깜짝 놀랐습니다.
자본주의의 메카, 미국의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 미국은 401K(401조 K항에 명시되어 있어 이렇게 부름)라고 하는 퇴직연금제도가 있습니다. 소득의 10% 가량을 의무적으로 적립하며, 고용자가 50%, 개인이 50%를 부담합니다. 의무적으로 적립된 금액은 안정적으로 운영되어야 하기에 대부분 시총 상위기업 또는 그로 구성된 ETF 등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곳에 투자됩니다.
이는 미국 증시의 하방을 지지하는 요소이며, 개인들에게는 퇴직 이후의 삶을 지탱해주는 원동력입니다. 많은 평범한 미국 직장인들은 이 제도를 통해 퇴직 후 백만장자(작성일 환율기준, 한화로 약 12억 5천만원)가 될 수 있습니다. 정말 대단하지 않나요?
내가 가입한 기간동안 최근 처럼 큼지막한 부정적 이슈들(코로나19,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인플레이션 등)이 무더기로 일어날 수도 있습니다. 그렇다고 투자를 하지 않고 저금을 하면 정말 안정적인 것일까요? 극단적으로 베네수엘라처럼 화폐 가치가 쓰레기가 되어버린다면, 아니 극단적으로 가지 않고도 매년 화폐가치가 2%씩만 떨어진다고 가정한다면 내가 저금한 것에 비해 정말 초라한 결과물을 받아들일 수 밖에 없습니다.
그리하여 제가 도달한 결론은 IRP를 적극적으로 운용하자 입니다. 어차피 안정자산을 최소 30% 이상 설정해야 된다는 장치가 있어 매우 공격적으로 운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물론, 이 또한 TDF(Target Date Fund의 약자로, 투자자의 은퇴 시점을 목표 시점으로 해 생애주기에 따라 펀드가 포트폴리오를 알아서 조정하는 자산배분. 안전자산으로 분류되는 2045TDF와 같은 경우는 주식 비중이 상당히 높다. 이후 해당 시점이 다가오면서 채권 등 안전자산의 비율이 늘어나는 형태)등으로 우회하시는 분들이 많이 있습니다.
저는 더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되는 투자법을 찾게 되기 전까지 다음과 같이 투자하고자 합니다.
(최초배분) 1. 주식형 50% : 미국 25%, 한국 25% 2. 채권형 30% : 미국 15%, 한국 15% 3. 대체투자 10% : 금 5%, 리츠 5% 4. 현금성 자산 10% (리밸런싱) 매년 초 위의 최초 배분비율과 동일하게 리밸런싱을 실시(오른자산을 팔아서 내린자산을 삼)하고, 매월 입금되는 금액은 해당 비율이 깨진 곳 중 하락폭이 가장 큰 자산을 구매 |
아래의 사진은 제가 정말 좋아하는 홍춘욱 박사님의 리치고 어플리케이션에서 1,000만원 기준으로 IRP 성장형을 눌렀을 때의 예시입니다. 제가 운용하고자 하는 방향의 모티브는 여기서 따왔습니다. 해당 어플리케이션은 리밸런싱에 대한 피드백도 주고 있기 때문에 초보자가 운용하면서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저와 같은 고민을 하시는 분들께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돈 불리기, 지수 투자를 중심으로 (0) | 2022.04.30 |
---|---|
투자는 선택이 아닌 필수 (0) | 2022.04.28 |
자녀 증여 프로젝트, 돈없어도 시작해보자 (0) | 2022.04.25 |
평범한 직장인의 재태크 고민 (0) | 2022.04.21 |
포바이포 공모주 청약정보 간단요약 및 전망 (0) | 2022.04.20 |
댓글